공지사항
-
-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 '청소년 팩트체크스쿨' 참가자 모집
- 2022.09.16
-
- 등재학술지「미디어와 인격권」기획논문 및 일반 연구논문 공모 안내 (~6/20)
- 2022.04.18
언론정보학 포럼
-
- 180회 언론정보학 포럼: 이주현 교수
- 2022.12.01
-
- 179회 언론정보학 포럼: 임하진 교수
- 2022.05.16
-
- 178회 언론정보학포럼: 이상준 교수
- 2022.04.29
-
- 177회 언론정보학포럼: 김범주 본부장
- 2022.04.27
국내 학술 세미나
-
- 18회 언론정보학 후속세대 포럼
- 2022.12.27
-
- 22회 언론정보학 신진학자 포럼
- 2022.12.14
-
- 21회 언론정보학 신진학자 포럼
- 2022.11.14
-
- 17회 언론정보학 후속세대 포럼
- 2022.11.11
ICR Media Trend Report
-
- No.12: 저널리즘의 위기를 돌파할 하나의 해결책, 블록체인 저널리즘
- 2018.11.05
-
- No.11: 가짜 뉴스에 대한 국내외 법적/제도적 동향
- 2018.08.30
-
- No.10: 뉴스와 인공지능: 알고리즘 저널리즘의 현황
- 2018.02.21
-
- No.9: 독자 참여를 유도하는 뉴스 댓글 시스템 현황
- 2018.02.21
국제 학술 세미나

- 언론정보학 해외석학 콜로키움: 9/23 (금) < Joseph B. Walther: The Things We Do for Love: Online Hate in Social Media>
● 일시: 9월 23일 (금) 오전 9:30 – 11:00
● 접속 링크: https://snu-ac-kr.zoom.us/j/92631975018
● 발표자: Joseph B. Walther (UC Santa Barbara)
● 주제: The Things We Do for Love: Online Hate in Social Media
● 초록: Previous research intoline hate-- racist, religious, anti-immigrant, misogynistic, gender-related, and similar attacks --assumes that it is intended to harm its targets. A new theory ofline hate argues that it is motivated and rewarded by social approval in emergentline relationships. The theory propels three major assertions. First, hate messages are developed to garner admiration and affection through social media’s unique affordances. Second,line hate is socially organized. Third, obtaining social approval and praise intensifies haters’ prejudicial attitudes the more social reinforcement they receive. We will examine anecdotal and empirical research that supports these assertions.
● 연사 소개: Joseph B. Walther holds the Bertelsen Presidential Chair in Technology and Societ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where he is a Distinguished Professor of Communication, and Director of the Center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A Fulbright Scholar, Fellow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and Distinguished Scholar in the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is research focuses the impact of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dynamics 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people develop via mediated interac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groups, and inter-ethnic conflict.
- 2022.09.16
<언론정보연구> 기획특집 세미나

-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기획특집세미나(7/9) 안내
안녕하십니까. 언론정보연구소입니다.
우리 연구소에서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역할은 무엇인가?>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아래 내용 확인하시고,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기획 의도
코로나19은 스페인독감 이후 100년만에 찾아온 가장 큰 규모의 팬데믹 (세계적 대유행)으로서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최대의 위기이다.
스페인 독감 국면에서 Science는 1919년 The lessons of the pandemic을 출판한 바 있고 2020년 Nature에서는 사회과학의 대가들이 모여 작성한 Using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to support COVID-19 pandemic response라는 논문을 출판한 바 있다.
그렇다면 과연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 커뮤니케이션학은 어떠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까? 이를 함께 고민하고자 열린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일시: 2020년 7월 9일(목), 13시 30분 - 16시 50분
● 장소: 온라인(ZOOM)을 통해 접속 (회의 ID 967 9940 6117, https://snu-ac-kr.zoom.us/j/96799406117) - 2020.07.22
특별 세미나

- 일의 미래 프로젝트 : <일과 노동의 미래: 자동화를 넘어 연대와 성숙으로> 최종 보고서
언론정보연구소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일의 미래 포럼'에서 작성한 최종 보고서를 첨부합니다. 이용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2019년 4월 26일 <일과 노동의 미래: 자동화를 넘어 연대와 성숙으로>라는 제목으로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 201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