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 포럼

196회 언론정보학 포럼/ Current Topics in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뉴스의 생산 & 뉴스의 생산자

일시 2025.03.27
작성자
admicr
작성일
2025-03-17
조회
100




● 주제: 뉴스의 생산 & 뉴스의 생산자

● 발표자: 윤석민 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배진아 교수 (공주대학교 영상학과)

● 토론자: 한규섭 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시간 및 장소: 3월 27일 (목) 12:30~14:00, IBK커뮤니케이션센터 64동 501호

● 초록:  흔히 “뉴스 생산과정은 블랙박스와 같다”고 한다. <저널리즘연구>는 저자들이 5개월에 걸쳐 조선일보 편집국을 참여관찰하며 이 블랙박스를 들여다본 과정을 담고 있다. 언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걸림돌이 아닌 성공의 조력자라는 관점에서 저자들은 현장 연구를 통해 한국 언론 위기 극복의 답을 찾고자 한다. 저자들이 체험을 통해 공유한 뉴스 생산과정과 언론 현장에 대한 서술은 단언컨대 그 어떤 저술보다 생생하고 꼼꼼하다. 저자들은 현장 연구의 결과로 ‘언론인의 헌신’과 ‘사실(성) 확인의 규범 준수’에서 한국 언론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희망을 확인한다. 저널리즘 연구자와 현업에 울림을 주는 기념비적 연구로 평가받을 만하다. <이나연 교수(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의 서평>

● 연사 소개:

윤석민 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 사회 미디어 체계의 주요 현안들, 특히 미디어 다양성, 공정성, 사실성과 같은 규범적 가치들의 이론적 정립에 관심을 두고 《미디어 거버넌스》(2020), 《미디어 공정성 연구》(2015) 등을 펴냈고,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SNU 팩트체크 등의 설립을 주도하고 이끌었다. 현재는 저널리즘 연구에 몰두하면서, AI 시대 언론을 이끌 인력 양성의 산실이 될 저널리즘 교육 기관 설립 문제에 부심하고 있다.

배진아 교수
공주대학교 영상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 미디어 콘텐츠와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고 교육하면서, 동시에 한국언론학회 회장직을 수행 중이다.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방송미래발전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등의 활동을 통해 미디어 정책의 학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공적 책무성, 공정성, 다양성 등 미디어의 가치를 실증적으로 연구해 왔으며,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할 미디어의 책임과 역할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